FCB 금융학회

Setup Menus in Admin Panel

[layerslider_vc id=”76″]

사모펀드는 비공개적으로 소수의 투자자를 모집하여 자금을 조달한 후, 주로 기업 인수합병(M&A)에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모펀드의 구성원은 펀드를 운용하면서 무한책임을 지는 운용사(GP, General Partner)와 자금을 투자하면서 유한책임을 지는 투자자(LP, Limited Partner)로 이루어집니다. 사모펀드는 적절한 투자 대상 선정을 위해서 시장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그 후, 선정된 기업의 인수합병에 전략적 혹은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하며, 기업의 가치제고 이후 매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사모펀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안목과 적절한 투자 시점을 파악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사모펀드란?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불리는 사모펀드(PEF)를 들어보셨나요? 요즘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 고수익을 위해 일명 ‘그들만의 리그’가 펼쳐지는 곳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에 대한 거시적 시각, 분석 능력, 산업에 대한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사모펀드에서 하는 업무와 성공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업무 소개

 

먼저 고수익을 위해 비밀스럽게 움직이는 사모펀드에서는 어떤 업무를 주로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모펀드(PEF, Private Equity Fund)는 사모투자 전문회사로, 운용사가 비공개적으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그들로부터 장기자금을 조달한 다음, 저평가 기업 등에 투자를 하여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PEF는 조달된 자금을 적절하게 투자하기 위해서 기업 및 금융시장에 대한 분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기업을 찾아냅니다. 이후, 대상기업에 재무적 투자자 및 전략적 투자자로 자금을 투자해서 장기간에 걸쳐 기업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이를 재매각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PEF의 주요 투자 대상은 기업이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동산이나 기타 장기투자자산 등에도 투자가 이루어집니다. 헤지펀드도 자금을 사적으로 모은다는 점에서 PEF와 비슷하지만, 통상 파생상품 등에 투자를 하여 단기적 수익을 추구한다는 투자성향 면에서 다릅니다.

 

■ 성공 요소

 

사모펀드에서 성공하려면 어떠한 역량이 요구될까요?

 

“사모펀드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으려면 시장에 대한 거시적 시각, 분석 능력, 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

 

적절한 투자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거시경제 전반적인 흐름을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큰 흐름을 보았을 때 어떤 투자 대상이 미래에 수익을 가져다 줄 것인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시장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시시각각 파악할 수 있어야 적절한 투자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투자 대상선정 과정에서 거시경제 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뛰어난 분석 능력이 요구됩니다.

 

또한 투자 대상선정 과정이나 가치제고 과정에서 투자 대상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사람이 필요합니다. 투자 대상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타당한 분석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산업에서 오랫동안 업무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영입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가치제고과정에서 해당 산업의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은 해당 기업의 경영진으로 투입되기도 합니다.

 

■ PEF 들어가기

 

지금까지 사모펀드 부서의 업무와 성공 요소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사모펀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사모펀드에 진입하는 단계의 사람들 중 학부생의 비율은 매우 작습니다. 사모펀드는 자금운용을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자산운용사와 마찬가지로 자산운용 경험이 거의없는 학부생에게는 기회가 많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3년 이상의 인수·합병 관련 경험이 있는 사람을 선호합니다. 예를 들자면, 인수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조사하는 회계사, 전략을 설계하는 컨설턴트, 법률적 문제를 검토하는 변호사 등은 인수·합병 관련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셀 사이드에서 인수·합병 관련 업무를 많이 경험하는 부서인 IBD에서도 많이 진입합니다. 종종 같은 바이 사이드인 다른 자산운용사나 사모펀드, 자기자본투자 부서에서 이직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해당 사모펀드가 특정 기업을 매수하기로 결정했거나 결정단계에 있을 때, 그 기업이 속한 산업에서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영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투자 대상기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조언을 해주거나 인수기업의 경영진으로 투입됩니다.

 

사모펀드 부서에 효과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실무 지식 학습’, ‘실무 경험’, ‘현업과의 네트워킹’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실무 지식 학습’이란 학교나 자격증 공부를 통해 배운 이론들을 실무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심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실무 경험’이란 현업에서 하는 업무들을 실제로 경험함으로써 실무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현업과의 네트워킹’이 중요한 이유는 현업들과의 대화와 교류를 통해 금융권에 가까운 인재로 발전해 나가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세가지 요소가 금융권에 진입하여 차후 금융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모펀드 (PEF) 는 수익구조가 어떻게 되나요?

Answer 

사모펀드의 (PEF) 수익구조는 기본적으로 운용사와 유사합니다. 사모펀드에는 크게 투자자 (Limited Partnership, LP)와 투자를 받는 사람들 (운용사, General Partnership, GP)이 있는데, 이때 GP들은 크게 두 가지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게 됩니다.

첫 번째는 자본에 대한 운용 수수료이고 두 번째는 초과 수익률입니다. 첫 번째 수익원부터 설명해 드리면, 사모펀드에도 운용사와 마찬가지로 자산에 대한 운용 수수료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이것이 일차적인 수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형/채권형 펀드 같은 전통적인 투자대상이 아닌 사모펀드는 성과 수수료가 있습니다. 운용 성과가 특정 기준 이상이라면, 즉 약정된 최소 요구수익률을 상회하는 성과를 냈을 때 그 초과 수익을 사모펀드에서 취할 수 있습니다.

 

Finance Career Keyword

사모펀드, 부서별 특징, 비지니스 모델, 업무 차이점

사모펀드 (PEF) 에 들어가려면 어떤 전략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은가요?

Answer 

사모펀드 (PEF) 는 보통 경력직을 채용하기 때문에 지원자가 투자처를 발굴하는 분석력과 기업 가치를 벨류에이션할 수 있는 능력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합니다. 따라서, 기업금융, 주식 리서치 등 기업 벨류에이션을 업무를 진행한 부서에서 이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융권 외에도 기업 벨류에이션 및 오퍼레이션을 다루는 전략 컨설팅에서도 이직하는 때도 있습니다.

각 사모펀드 회사마다 고유 특성과 커버하는 산업의 종류가 다릅니다. 따라서 그 산업을 다루는 사모펀드가 어느 회사인지를 파악한 후 그에 상응하는 준비를 해야 합니다. 한 예로, IT 섹터를 커버했던 RA 혹은 애널리스트가 해당 섹터를 커버하는 사모펀드에 지원하면 입사에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Finance Career Keyword

사모펀드, 입사대비, 부서별 특징, 금융권 내 이동

사모펀드 (PEF) 는 헤드헌터들이 직접 채용을 진행한다고 들었습니다. 사모펀드 헤드헌터들과의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축할 수 있나요?

Answer 

모든 사모펀드 (PEF) 에서 헤드헌터들을 통해 인력을 직접 채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외국계 혹은 일부 국내사는 인력을 추가로 채용할 때, 내부 포스팅 과정을 거칩니다. 해당하는 포지션에 특정 요구 능력을 갖춘 사람을 선발할 때, 지인의 추천을 통해서 먼저 지원자를 모집하고, 동시에 헤드헌터에게도 통보하여 해당 요건에 맞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진행합니다.

헤드헌터는 추천한 사람이 채용되면 회사로부터 연봉의 일정 비율만큼을 사례로 받기 때문에, 헤드헌터도 잠재적인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헤드헌터들과의 네트워크는 크게 2가지 경로를 통해서 형성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본인이 직접 헤드헌터들에게 본인의 상세한 프로필 등을 담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지인의 추천을 통한 경우로, 실질적으로 두 번째 경로를 통한 방법이 대부분입니다. 해당 분야에서 일정 기간 이상의 근무 경력이 있다면, 여러 루트를 통해 헤드헌터로부터 먼저 제안이 오기도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도 항상 평판 관리를 꾸준히 하면서,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Finance Career Keyword

사모펀드, 입사대비, 헤드헌터, 네트워킹

헤지펀드 입사를 위한 커리어패스는 어떻게 되는지요?

Answer 

헤지펀드는 일반적으로 경력직들을 채용합니다. 그러므로 헤지펀드를 첫 번째 커리어 목표로 잡는 것보다는 먼저 주식, 채권, 파생 상품 등 다양한 금융 상품 중에서 적어도 한 분야 이상에서 전문가가 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 투자 자산 중 적어도 하나만큼은 자신의 무기가 되어야 헤지펀드에서 성공적으로 커리어를 쌓아 나갈 수 있습니다.

헤지펀드는 주식, 선물, 옵션 등의 파생 상품, 채권, 그리고 원자재와 장외 파생 상품까지 폭넓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다양한 상품을 익히는 것보다는 본인이 가장 관심이 있고 남들보다 잘할 수 있는 분야가 있어야 합니다. 채권에 관심이 있고 자신이 있다면, 펀드 운용 시 채권 중심의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Finance Career Keyword

헤지펀드, 커리어패스 관리, 입사대비, 금융권 내 이동

사모펀드 (PEF) 와 벤처캐피탈 (Venture Capital)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nswer 

사모펀드 (PEF)와 벤처캐피탈 (Venture Capital) 은 기업에 투자하고 특히 개인 소유 회사의 지분에 투자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투자대상과 전략에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먼저, 벤처캐피탈은 사업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위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 (Start Up), 초기 단계 (Early Stage) 의 회사이거나 혹은 이보다 조금 성장한 단계의 기업에 주로 투자를 합니다. 하지만 전망이 불확실하다는 단점 때문에 작은 규모로 다양한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반면에 사모펀드는 어느 정도 성장을 했다고 볼 수 있는 중소기업 이상의 기업에 주로 투자를 하며 투자규모 역시 경영권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내에 대표적인 사모펀드 기업인 M사의 C회사 인수 등의 사례를 보면, 향후 재매각을 목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경영권을 획득 할 수 있는 규모의 투자를 하고 회사를 정상화 시킨 후 재매각을 했던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투자 대상은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이 많지만,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기업에 대해서도 인수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벤처캐피탈 같은 경우에는 Incubating 혹은 Accelerating이라고 해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는 기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을지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도움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사모펀드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어느 정도 기반이 안정된 기업들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피인수기업의 작업 능률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구조조정 및 전략을 수행하여 경영 효율화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Finance Career Keyword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업무특징, 업무 차이점

벤처캐피탈 (Venture Capital) 에 입사하기 위해 스타트업 경험이 필요한가요?

Answer 

벤처 캐피탈 업무는 투자처 발굴, 실사, 투자, 기업 운영, 투자금 회수를 개별적으로 모두 수행합니다. 특히, 좋은 투자처를 발굴하는 데에는 평소에 닦아 온 인적 네트워크와 명성이 큰 역할을 합니다. 기업가를 존중하고 기업에 가치를 제공하는 투자자가 되어야만 진정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기업가로서 스타트업 경험이 있으면, 그들 간의 네트워크가 자연스럽게 형성이 되기 때문에 벤처 캐피탈리스트로 성장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다양한 산업의 스타트업 경험이 있다면, 해당 산업 및 기업에 대한 분석을 할 때도 중요한 벨류에이션 요소들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실무적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Finance Career Keyword

벤처캐피탈, 비금융권 경력, 부서별 특징, 네트워킹

사업자번호: 107-19-79173 · 주소: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0 · 통신판매업: 제2015-서울영등포-1572호 · 대표: 이혁재 · 개인정보관리자: 노정균 · 고객문의: info@fcbfi.org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C)2023 FCBTS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Setup Menus in Admin Panel